
스페이스뉴스 스페이스뉴스 기자 | 부산시는 장기기증의 의미를 확산하고 국제적 공감대를 넓히기 위해 11일 '2025년 한·일 장기기증 국제 심포지엄'과 장기기증자와 그 유가족을 위한 '힐링의 밤' 행사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두 행사는 생명나눔의 중요성을 알리고 기증자의 고귀한 마음을 되새기는 자리로 마련됐으며, 시가 주최하고 (사)한국장기기증협회(회장 강치영)가 주관한다.
먼저, 오후 2시 시청 국제회의장에서 '2025년 한·일 장기기증 국제 심포지엄'이 열린다. '한일 지방정부의 장기기증 현황과 정책'을 주제로 한국과 일본의 장기기증 전문가들이 모여 각국의 정책과 시민 인식, 제도 개선 방향을 모색한다.
오늘 학술 토론회(심포지엄)에는 박형준 시장을 비롯해, 국내 및 일본 장기기증 관련 전문가, 유관 단체, 구·군 담당자, 생명나눔 서포터스 등 100여 명이 함께한다.
주제발표로 강치영 (사)한국장기기증협회장이 '2025년 장기기증 활성화를 위한 인식 조사' 설문 결과를 발표한다.
설문은 (사)한국장기기증협회가 지난 9월 11일부터 10월 2일까지 한일 양국 국민 1천400명(한국 700, 일본 700)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설문은 ‘지자체의 장기기증 정책’ 전반에 대한 시민의 인식 조사를 담고 있다. ▲장기기증과 뇌사 인지도 ▲장기기증 의사 ▲각국의 정책 소개 및 개선 방향 ▲장기기증 교육 및 프로그램 ▲장기기증에 대한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역할 등이다.
주제발표에 이어, 설문조사 결과에 관한 전문가 토론이 이어진다.
토론의 좌장은 김순은 한국장기기증학회장이 맡고, 토론에는 이희태 신라대학교 대외부총장, 닛타 준이치 일본 나가사키현 복지보건부장, 조규율 시 시민건강국장이 참여한다.
시는 이번 국제 학술 토론회(심포지엄)를 통해 한일 양국의 장기기증 정책에 대한 인식을 되짚어 보고 그 영향을 조명한다. 이를 통해, 장기기증 관련 법·제도 개선 가능성과 인식 제고 방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후, 같은 날 오후 6시 롯데호텔 부산에서는 장기기증자와 그 유가족을 위한 '힐링의 밤' 행사가 열린다.
장기기증자와 그 유가족 등 관계자 150여 명이 참석하며, 기증자의 숭고한 뜻을 기리고 유가족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행사는 기증자 및 유가족에게 감사패 전달, 생명나눔문화 활성화 유공자 표창, 장기기증 서약, 헌시낭독, 축가 등의 순서로 진행된다. 참석자들은 기증의 의미를 되새기며 따뜻한 교류의 시간을 가질 예정이다.
한편, 시는 장기·인체조직기증 인식을 제고하고 생명나눔 문화를 확산하기 위해 '장기기증 활성화를 통한 다시 사는 세상, 건강한 부산'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사)한국장기기증협회 등 민간단체를 지원하며 다양한 캠페인을 전개하고 있다. 올해는 생명나눔 음악회, 웹툰 제작 등 문화예술을 통한 인식 개선 사업과 함께 국제 학술 토론회(심포지엄), 유가족 초청 행사 등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시는 지난해 전국 지자체 최초로 '기증자 유가족 심리치유 지원사업'을 시행했으며, 올해는 전국 지자체 최초로 '장기기증 확인증 발급 제도'를 도입했다.
박형준 시장은 “오늘 학술 토론회(심포지엄)는 한일 양국의 지방정부가 함께 머리를 맞대고, 생명나눔 문화의 확산을 위한 새로운 해법을 찾는 의미 있는 자리”라며, “앞으로도 기증자 예우를 강화하고 시민 인식 개선을 위한 캠페인을 지속해 생명나눔이 일상 속 문화로 자리 잡을 수 있게 하겠다”라고 전할 예정이다.
[뉴스출처 : 부산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