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페이스뉴스 스페이스뉴스 기자 | 시대를 넘어, 인공지능(AI) 기술로 되살아 난 정약용과 전남 학생들이 마주 앉았다.
11월 6일 예당고등학교에서는 ‘다산 정약용의 사상으로 알아보는 지방자치제도’를 주제로 한 중등 2030교실 공개의 날이 진행됐다. 이번 수업은 지난 7월 화순오성초등학교에서 남극 장보고기지와 연계해 진행한 초등 ‘2030 미네르바 교실’에 이어, 중등 2030교실 수업을 일반에 공개하는 첫 자리다.
전남교육청이 ‘2024 대한민국 글로컬 미래교육박람회’의 성과를 이어 추진하고 있는 ‘2030교실’은 학령인구 감소와 교육격차 심화 등 전남이 직면한 2030년 교육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핵심사업으로, 지역과 세계가 공생하는 글로컬 인재를 키우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올해 유아 51개, 초등 43개, 중등 39개 등 총 133개를 구축해 운영하고 있으며, 2026년에는 공모를 통해 유아 30개, 초등 40개, 중등 40개 등 총 110개 내외를 추가로 선정할 계획이다.
이날 공개 수업에는 김대중 전남교육감을 비롯해 2030수업연구회 교사, 언론 및 교원 등이 참석해 AI 기반 수업과 시공간 초월형 학습의 실제 운영 사례를 참관하며 높은 관심을 보였다.
이번 수업은 예당고의 2030교실인 ‘2030 AI 아고라 교실’에서 진행됐으며 예당고뿐만 아니라 한울고·녹동고 학생들이 온라인으로 연결돼 함께했다.
수업은 조선 후기 실학자 다산 정약용의 사상을 오늘날의 지방자치제도와 연결해, 학생들이 민주주의의 의미와 시민의 역할을 탐구하도록 설계된 통합사회·정치와 법 융합 프로젝트 수업이다. 학생들은 AI 기술을 활용해 구현된 가상의 ‘AI 정약용’과 마주 앉아 대화를 주고받으며, 민주주의와 지방자치, 시민의 역할을 탐구했다.
AI 정약용이 ‘목민심서’와 ‘경세유표’의 사상을 토대로 지방자치의 원리를 설명하면, 학생들은 곧바로 질문을 던지며 토론을 이어갔다. “지금의 행정에 적용할 수 있을까요?” “시민에게 필요한 덕목은 무엇일까요?”와 같은 질문이 오가고, 학생들은 관련 자료를 검색해 근거를 찾아가며 AI의 답변을 실시간으로 검증했다.
이 과정에서 학생들은 정답을 기다리는 대신 스스로 사고하고 논박하며, 토론을 통해 민주주의의 의미를 확장해 나갔다. 이어 모둠별로 각각 작성한 교육·산업·복지·문화관광 분야 조례안을 완성했다.
특히 이날 수업에는 김대중 교육감이 교육행정 전문가로서 참여해 학생들이 제안한 조례안을 함께 살펴보고 의견을 나누었다. 김 교육감은 학생들의 창의적 아이디어와 생활 속 문제의식을 반영한 조례안에 깊은 관심을 보이며, “현장의 작은 생각이 지역사회의 변화를 이끄는 민주주의의 시작”이라며 격려했다.
김대중 교육감은 “오늘 예당고의 수업처럼 학생이 주체가 되어 스스로 사회 문제를 해결해 가는 과정이야말로 전남이 지향하는 미래교육의 방향”이라며 “전남 2030교실은 단순한 공간 혁신이 아니라, 학생의 배움과 학교의 수업을 새롭게 바꾸는 전남 수업 대전환의 장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뉴스출처 : 전라남도교육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