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페이스뉴스 스페이스뉴스 기자 | 경상국립대학교는 11월 5일 오후 3시 가좌캠퍼스 인문대학 교양강의실에서 ‘지역균형성장과 대학 역할에 관한 동남권 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지방시대위원회, 전국균형발전포럼, 경상국립대학교가 공동 주최하고, 창원대학교·경남대학교·인제대학교·경남민주교수연대·경남민주연구소·사회혁신에너지대전환포럼이 공동 주관했다. 행사에는 경남·부산·울산 지역 대학생·교수·정책 관계자·시민 등 300여 명이 참석해 성황을 이뤘다.
이번 포럼은 현 정부가 추진 중인 ‘5극 3특 지방시대 정책’ 기조 아래, 경·부·울 메가시티의 성공적 추진과 지역균형성장 실현을 위한 지역대학의 역할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특히 경상국립대학교 총학생회가 주도적으로 포럼을 기획해 대학 구성원의 참여와 정책 담론의 장을 열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서울대 10개 만들기’ 시대, 국가거점국립대의 사명 재조명
권진회 총장은 환영사에서 “수도권 집중과 지역 소멸이라는 위기 속에서 지역대학은 단순한 교육기관을 넘어, 지역사회의 지식·인재·혁신의 거점으로서 막중한 역할을 요구받고 있다.”라며 “경상국립대학교는 ‘공공의 대학, 지역의 대학’으로서 교육과 연구, 혁신의 힘으로 동남권의 균형발전을 선도하겠다.”라고 말했다.
또한 권진회 총장은 “정부의 ‘서울대 10개 만들기’ 정책이 국가거점국립대의 경쟁력 강화를 통해 실질적인 지역균형성장으로 이어져야 한다.”라며 지역대학이 그 중심 역할을 수행할 것임을 강조하고 “특히 학생자치기구를 비롯한 대학 구성원들의 자발적 참여는 대학이 지역사회의 변화를 주도할 수 있다는 희망을 보여주고 있다.”라고 말했다.
지방시대 실현 위한 실천적 비전 제시
포럼의 기조강연은 김경수 지방시대위원회 위원장이 맡아 ‘국민주권정부, 지역에서 어떻게 실현할 것인가?’라는 주제로 발표했다. 김경수 위원장은 “지방시대의 성공은 지역 스스로의 역량 강화와 대학의 혁신에서 출발한다.”라며 지역대학과 지방정부의 협력 모델을 제시했다. 이어진 발표에서는 정주철 부산대학교 공과대학장이 ‘서울대 10개 만들기와 지역대학의 역할’이라는 주제로 지역대학의 구조적 혁신과 산학협력 강화 방안을 제안했다.
토론 세션에는 부산대학교 김태만 교수, 경상국립대학교 김영석 교수, 경남대학교 신원식 교수, 국립창원대학교 유진상 교수, 송순호 전 경상남도의원 등이 참여하여 지역균형성장의 구체적 실행 전략과 경·부·울 대학 간 연대 강화 방안을 논의했다.
“학생이 만든 지방시대 논의의 장”…총학생회 주도 의미 커
이번 포럼의 주최자인 박한세 경상국립대학교 총학생회장은 “지역의 문제를 외면하지 않고, 대학이 먼저 목소리를 내야 한다는 책임감으로 이번 포럼을 준비했다.”라며 “정책 논의의 장에 학생들이 주체적으로 참여하는 것은 지방시대의 실질적 출발점”이라고 밝혔다. 그는 또 “이번 행사가 경·부·울 대학 간 연대의 출발이자, 지역대학이 스스로 미래를 설계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라고 덧붙였다.
경·부·울 메가시티 성공, 대학이 앞장선다
이번 포럼은 지방시대위원회와 동남권 주요 대학, 연구소, 시민사회가 한자리에 모여 지역균형성장을 위한 공동의 해법을 모색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특히 경·부·울 메가시티 구상이 지역균형성장의 핵심 전략으로 자리 잡는 가운데, 대학이 지역혁신의 허브로서 실질적인 변화를 주도해야 한다는 공감대가 확산됐다.
경상국립대학교는 “앞으로도 국가거점국립대학으로서 지역과 함께 성장하며, 정부의 지역균형성장 정책을 구체화하기 위한 연구와 실천을 지속할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뉴스출처 : 경상국립대학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