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2 (금)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지역

충남 수출 1·2위 나라 찾는 ‘1호 영업사원’

김태흠 지사, 22일부터 중국·베트남 출장…중국사무소 본격 가동

 

스페이스뉴스 스페이스뉴스 기자 | 국내외 기업 투자 유치와 해외시장 개척에 공을 들이고 있는 ‘충남 1호 영업사원’ 김태흠 지사가 이번에는 도내 수출 1·2위를 차지하고 있는 베트남과 중국에 눈길을 돌렸다.

 

중국에서 투자 유치 및 해외시장 개척 전진기지를 본격 가동하고, 베트남에서는 판로 확대와 새로운 시장 개척을 위한 세일즈 활동을 펼친다.

 

도에 따르면, 김 지사는 △충남 중국사무소 개소 △베트남 수출상담회 개최 △중국 상하이·베트남 호치민 등 지방정부와의 교류·협력 확대 등을 위해 22일 출장길에 올랐다.

 

이번 출장을 일정별로 보면, 김 지사는 첫 날인 22일 중국 장수성을 방문, 쉬쿤린 성장을 만나 20년 동안의 우정을 재확인한다.

 

화이허강과 창강 하류 지역에 위치한 장수성은 우리나라 기업의 최다 투자 지역으로, 도와는 지난 2005년부터 우호협력 관계를 맺고 교류를 진행해오고 있다.

방중 이틀째인 23일에는 장수성 양저우시를 찾아 정하이타오 시장을 만나 교류·협력 방안을 논의한다.

 

25일에는 인공지능(AI)과 안면 인식, 자율주행 분야 선두 기업으로 꼽히는 센스타임 상하이 본사를 찾아 중국의 미래 기술 동향을 살핀다.

 

이어 상하이 진지앙호텔에서 충남 중국사무소 개소식을 갖고, 중국 투자유치 및 시장 개척 전진기지 가동을 안팎에 알린다.

 

중국사무소 개소식에 이어서는 한중문화우호협회와 중국인민대외우호협회가 주최하고 충남연구원이 주관하는 한중연 산혁협력 포럼에 참석, 중국 정재계 인사들과 양국 경제 발전 방안을 모색한다.

 

출장 5일째인 26일에는 중국 최대 경제도시로 글로벌 금융·무역 허브인 상하이시의 궁정 시장을 만난다.

 

도와 상하이는 2008년부터 우호협력 관계를 맺고 있다.

 

이 자리에서 김 지사는 2026년 태안국제원예치유박람회 등 양 지역의 교류·협력 확대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

 

궁정 시장 접견에 이어서는 화웨이의 자율주행 자동차 전시관을 찾아 중국의 기술력을 살핀 뒤, 베트남으로 이동한다.

 

베트남 일정은 해외시장 개척 활동으로 시작한다.

 

김 지사는 27일 호치민에 마련한 충청남도·베트남 비즈니스 매칭데이 행사장을 찾아 현지 바이어에게 충남 제품의 우수성을 설명한다.

 

도가 주최하고, 충남경제진흥원과 TJB 대전방송이 공동 주관하는 이 행사에는 도내 30개 기업이 참가, 수출길 확대에 나선다.

 

비즈니스 매칭데이 이후에는 베트남 경제수도로 불리는 호치민의 인민위원회 청사를 방문, 응우옌 반 드억 인민위원장을 만난다.

 

이어 천안 연암대-호치민 농림대 업무협약에 참석한 뒤, 충남-호치민 기업인의 밤을 찾아 양국 기업의 동반 성장 방안을 논의한다.

 

베트남 출장 사흘째인 28일에는 연암대와 떤따오대 협약식에 참석한 후 떤이닌성 응우옌 반 웃 성장을 만난 뒤 다낭으로 이동한다.

 

29일에는 류엉 응우옌 민 찌엣 다낭시 인민위원장과 접견을 하고, 응우옌 반 프엉 후에시 인민위원장을 만나 우호협력 의향을 체결하며 교류·협력 물꼬를 튼다.

 

도 관계자는 “베트남과 중국은 도내 기업 수출 1·2위를 차지하는, 충남의 중요 경제 파트너”라며 “이번 출장에서는 경제 영토 확장 발판을 우선 다지고, 지방정부 및 민간 간 교류·협력 확대 계기를 만들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올해 상반기(1∼6월) 도내 수출액은 426억 8100만 달러로 집계됐다.

 

국가별로는 베트남이 84억 4000만 달러로 1위, 중국이 76억 4800만 달러로 2위를 차지했다.


[뉴스출처 : 충청남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