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이스뉴스 스페이스뉴스 기자 | 전북특별자치도가 ‘제21대 대통령 국정운영 5개년 계획’에 전북의 핵심 전략과제를 반영하기 위해 도정 전 조직과 역량을 총동원한 전략적 대응을 펼치고 있다.
단순 건의 수준을 넘어, 중앙정부의 정책 설계 초기단계부터 선제적으로 대응하며 지역 현안의 국정과제화를 위한 발판을 다지고 있다.
전북도는 지난 5월, 김관영 도지사 직속으로 ‘국정과제 대응 TF’를 신속히 구성했다. TF는 노홍석 행정부지사를 총괄로 하여 실국별 전략과제를 전면 재정비하고, 각 과제의 정책 당위성과 효과성을 구조화하는 작업에 나섰다. 단순한 자료 제출에서 벗어나 정책논리 정비, 부처 실무자와의 사전 조율, 국정기획위원회 핵심 인사 대상 전략건의로 이어지는 ‘3단계 대응체계’를 수립했다.
6월 말부터는 도지사를 비롯해 행정·경제부지사, 기획조정실장, 정책기획관 등 도정 지휘부가 전면에 나섰다. 김관영 지사는 이한주 국정기획위원장과 박수현 국가균형성장특위 위원장, 박홍근·이춘석·홍창남 국정기획위 분과장, 윤준병 국회의원 등 핵심 인사들과 릴레이 면담을 진행하며 전북 전략과제의 필요성과 효과를 집중 설득했다.
기획조정실장을 중심으로 한 실무진도 거의 매일 서울을 오가며 관계 부처 및 국정기획위원회와 실시간 대응에 나서고 있다. 도는 ▲ 하계올림픽 유치 지원, ▲ 새만금 인프라 확충과 에너지 전환(RE100), ▲ 미래 신산업 육성, ▲ 농생명·K-컬처 산업, ▲ 공공의대 설립 및 복지 강화 등 핵심 전략과제를 중심으로 정책을 구조화하고, 맞춤형 자료를 바탕으로 정교한 설득 작업을 벌이고 있다.
도는 국정과제 확정 전까지 TF 중심의 현장 대응 체계를 유지하면서 실국·시군·유관기관과의 협업을 강화하고, 정치권 및 관계 부처와의 조율을 지속해 전북 전략과제의 실질 반영을 이끌어낸다는 방침이다.
김관영 지사는 “이번 대응은 전북이 단순한 수요자가 아니라, 정책 설계에 함께 참여한 구조적 성과”라며 “전북의 미래가 걸린 핵심 과제들이 정부 실천계획에 온전히 담기도록 마지막까지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뉴스출처 : 전라북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