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이스뉴스 스페이스뉴스 기자 | 제주특별자치도는 농촌지역 인구감소와 고령화로 인한 인력난 해소를 위해 2023년 도입한 ‘공공형 계절근로사업’을 최대 12개소까지 확대 운영할 방침이다.
공공형 계절근로사업은 운영주체인 농협이 지방자치단체에서 도입한 외국인 계절근로자와 근로계약을 체결해 필요 농가에 농업 노동력을 제공하는 사업이다. 2023년 위미농협에서 시범도입한 후 농가 호응을 얻어 현재 6개소*까지 확대 운영 중이다.
수요조사 결과 12개 농협이 공공형 계절근로사업 운영을 희망함에 따라 제주도는 하반기 농림축산식품부 공모에 참여할 계획이다.
제주도는 기존 협약 국가와의 협력 강화, 도입 국가 다변화 등을 통해 안정적인 인력 공급 체계를 구축하고자 다각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주요 협력국인 베트남의 행정조직 개편에도 선제적으로 대응했다.
제주도와 베트남 남딘성은 2023년 3월 29일 ‘농업분야 외국인 계절근로자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2년간 170명(23년 61명, 24년 109명)을 성공적으로 도입했으며, 올해 3월 29일 협약을 2년 연장했다.
남딘성이 2025년 7월 닌빈성으로 통합되는 베트남 주정부의 행정조직 개편에 따라 협약 당사자 변경사항을 반영해 하반기 계절근로자 도입 전 협약서 문구를 수정할 예정이다.
올해 배정된 230명의 공공형 계절근로자 중 상반기에 제주에 도착한 58명(한림·고산농협 도입인원)을 제외한 170명은 닌빈성에 주소지를 둔 계절근로자로 하반기 제주 농촌 현장에 투입될 예정이다.
제주도는 공공형 계절근로자 도입 국가 다변화를 위해 캄보디아와 외국인 계절근로자 도입을 위한 업무협약(MOU) 체결을 추진하고 있다.
14일 캄보디아 노동직업훈련부와 영상회의를 통해 양해각서 내용을 논의하고, 올해 하반기 협약 일정을 협의할 예정이다.
캄보디아와의 신규 협약을 통한 인력 도입은 내년부터 시작될 예정이며, 베트남 인력 중심의 공급 구조를 보완해 안정적인 수급 체계를 구축할 것으로 기대된다.
김형은 제주도 농축산식품국장은 “공공형 계절근로사업은 인력난 해소와 농가 경영비 절감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고 있다”며 “사업 확대와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 국가간 협력을 강화해 사업의 지속가능성을 높여 나가겠다”고 말했다.
[뉴스출처 : 제주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