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이스뉴스 관리자 기자 | 프랑스의 브뤼노 르메르 경제·재무장관은 22일(월) 제3국의 불공정한 보조금 지원을 받은 수입 상품에 대한 관세 부과를 검토해야 한다고 언급해 주목받았다. 르메르 장관은 22일(월) 유럽의회 청문회에서 최근 EU가 전통적 보조금 규제에 대한 맹목적인 집착에서 벗어나, 전략 섹터에 대한 정부 지원을 확대한 것에 대해 혁신적이라며 높이 평가하고,나아가, 중국과 미국이 자국 산업 발전과 기술적 이해관계를 도모하는 보호주의적 정책을 시행 중인 가운데, 이런 불공정한 보조금에 대응하기 위한 관세 부과 등을 검토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다만 구체적인 품목 및 대상 국가 등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작년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발표 및 EU와 중국 간 교역 갈등이 격화하는 가운데, 프랑스는 보호주의 정책에 대하여 EU 회원국 가운데 가장 적극적으로 강력한 대응을 주장했다. 이의 일환으로 프랑스는 최근 친환경 자동차 보조금 제도개편을 통해 유럽산 전기차에 대한 보조금을 확대하는 등 IRA법과 유사한 내용의 보조금 제도 도입을 발표했다. [뉴스출처 : 한국무역협회]
스페이스뉴스 관리자 기자 | 체코를 비롯한 8개 EU 회원국은 EU 집행위의 자동차 배기가스 규제 'Euro 7 기준'이 비현실적인 정책이라며 비판, 시행 시기 연장 등을 촉구했다. 'Euro 7 기준'은 승용차, 벤 화물차, 버스 및 로리 등 모든 차량의 배기가스 기준을 단일 규정으로 통합하는 것으로, 휘발유, 디젤, 전기 및 대체 연료 등 차량의 연료와 관계없이 동일한 배기가스 기준을 설정하는 연료 중립 및 기술 중립 규범으로 평가된다. 이에 대해 체코 등 8개 회원국*은 스웨덴 EU 이사회 의장국에 전달한 공동문건에서, Euro 7 기준이 유럽 자동차업체에 대해 기존에 합의한 배기가스 기준 및 전기차 전환 계획을 넘어서는 추가적인 부담을 초래할 것이라며 비판했다. 8개 회원국은 체코, 불가리아, 프랑스, 헝가리, 이탈리아, 폴란드, 루마니아 및 슬로바키아 등이며, Euro 7 기준에 비판적인 독일은 국내 정치적 이유로 이번 공동문건에는 참여하지 않았다. 또한, EU가 2035년 내연기관 자동차 퇴출에 합의함에 따라 이를 위한 투자가 절실한 상황에서, 새로운 배기가스 기준인 Euro 7의 도입은 매우 비현실적인 방안이라고 주장했다. 특
스페이스뉴스 관리자 기자 | 아일랜드 개인정보 감독기구(Irish Data Protection Commissioner, DPC)는 22일(월) 메타(Meta)에 대해 개인정보보호 위반을 이유로 12억 유로의 과징금을 부과했다. DPC는 22일(월) 2020년 8월부터 실시한 페이스북 모회사 메타(Meta)의 유럽개인정보보호규정(GDPR) 위반 조사를 종결하며, 메타가 GDPR 규정을 위반한 점을 인정, GDPR 관련 사상 최대 금액인 12억 유로의 과징금을 부과했다. 지금까지 GDPR 위반을 이유로 부과된 최대 과징금은 아마존에 부과된 7.46억 유로이다. 또한, 향후 5개월 이내에 어떠한 개인정보도 미국에 이전되지 못하도록 조치하고, 6개월 이내 미국에서 GDPR에 위반하는 EU 시민의 개인정보 저장, 처리를 중단토록 명령했다. DPC는 메타가 EU 집행위 '표준계약조항(Standard Contractual Clauses)'에 근거, EU 시민 개인정보를 미국 본사에 전송한 점에도 불구, 유럽사법재판소가 판결에서 적시한 개인정보 주체의 기본적인 권리를 보호하지 못한 점이 GDPR 위반에 해당한다고 판단했다. 이번 결정에 대해 메타는 모든
스페이스뉴스 관리자 기자 | 주요 동남아시아 시장(인도네시아, 태국, 필리핀, 베트남, 말레이시아)의 스마트폰 출하량이 전년동기대비 3% 감소했다. (공장 출하량 기준) 2023년 1분기 베트남으로의 스마트폰 출하량이 전년동기대비 30% 감소하여 동남아시아 국가 중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다. 말레이시아 전년동기대비 29% 감소하여 2번째로 급감했다. 필리핀 10%, 인도네시아 7%, 태국은 1% 감소했다. 2023년 1,2월 베트남의 스마트폰 판매량은 전년동기대비 30% 감소한 250만 대를 기록했다. 보통 스마트폰 시장은 연초 5~15% 성장 후 3월부터 둔화되지만, 올해는 1월부터 감소했다. 이에 일각에서는 현재 베트남 스마트폰 소매 산업이 2~3년 후퇴했다고 평가했다. 이는 베트남의 소비자 심리가 완전히 회복되지 않았음에 기인했다. 동남아시아의 인플레이션이 소비자 심리에 영향을 미쳐 수요가 감소했다. 또한 베트남은 2022년 4분기에 이미 많은 출하량을 받아두었기 때문이다. 한편, 2023년 1분기 베트남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 1위는 21%로 삼성이 차지했다. 오포 20%, 비보 14%, 샤오미 14%, 리얼미 12%. 애
스페이스뉴스 관리자 기자 | 박진 외교장관은 5.23일 방한 중인 응고지 오콘조-이웰라(Ngozi Okonjo-Iweala) 세계무역기구(WTO) 사무총장을 접견하고, △ 다자무역체제 복원, △ 경제안보 제고 방안, △ 개도국의 다자무역체제 참여 지원 등에 대한 의견을 교환했다. 박 장관은 현재 국제사회가 지정학적 갈등, 공급망 재편 등 여러 가지 도전에 직면해 있다고 평가하면서, 이러한 복합위기 극복을 위해서는 다자무역체제의 핵심기구인 WTO의 역할이 중요한 만큼 응고지 사무총장이 규범 기반의 다자무역체제를 복원하는데 지도력을 발휘해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언급하고 우리의 적극적인 협력 의지도 표명했다. 또한 박 장관은 공급망 회복력 강화 등 경제안보 제고 방안과 관련하여 우리나라가 글로벌 중추국가로서 미국 등 우리와 가치를 공유하는 파트너국들과 경제안보 관련 소통을 강화하는 가운데, WTO, APEC, G20, IPEF 등의 다자 경제 플랫폼에서도 새로운 경제질서 구축을 위하여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을 알리는 등 우리 측 기여와 노력을 홍보했다. 아울러, 박 장관은 우리나라는 개방과 자유무역을 통해 수원국에서 공여국으로 빠르게 탈바꿈
스페이스뉴스 관리자 기자 |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은 5월 22일 폴란드 바르샤바를 방문하여 한국·우크라이나·폴란드 민간분야가 공동으로 개최한 ‘우크라이나 재건을 위한 국제 콘퍼런스’에 참석하여 우크라이나 재건 지원을 위해 우크라이나와 적극 협력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원 장관은 “오늘 콘퍼런스는 우크라이나에 대한 연대와 지지를 위해 모였고, 우크라이나 국민들의 용기에 존경을 표한다”라고 밝히면서, “재건과 복구는 과거로 돌아가는 것이 아니라 더 나은 미래로 나아가는 것이고, 이 과정에서 한국은 좋은 파트너로서 적극 지원하겠다”라고 말했다. 또한, 원 장관은 전쟁의 참화에서 벗어나 가장 빠르게 국가재건과 경제성장을 이룩한 우리나라의 재건경험을 언급하며, “스마트시티 및 첨단기술 기반의 교통망 조성 등 우크라이나의 인프라 재건을 위해 우수한 역량을 가진 한국의 공공기관과 기업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한국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 다리를 놓겠다”라고 밝혔다. 이날 콘퍼런스 개최 전, 원 장관은 우크라이나 국회의원 및 시장,부시장들과 조찬 간담회를 가지며 양국 간 적극 협력하기로 공감대를 형성하는 시간도 가졌다. 이후 원 장관은 한국해외인프라도시개발
스페이스뉴스 관리자 기자 | 카자흐스탄 국영석유가스 기업인 카즈무나이가스(KazMunayGas)와 러시아 최대 석유화학기업 시부르(Sibur)의 합작 사업인 Silleno 가스화학 플랜트 건설 프로젝트(2023~2027)의 추정된 사업비는 약 76억 달러에 달한다. 프로젝트의 최종 규모는 약 100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추산된다. Silleno 가스화학 플랜트는 연간 125만 톤의 폴리에틸렌을 생산하여 중국으로 수출할 예정이다. 러 코메르상트지에 따르면 미국 석유화학 기업인 쉐브론 필립스 케미컬(Chevron Phillips Chemical)이 폴리머 제조기술 라이선스를 제공하고, 플랜트 건설은 미국의 UOP가 맡을 예정이다. 프로젝트의 정확한 공사 기간과 건설비용은 현재 진행 중인 FEED(Front & End Engineering & Design) 단계 완성 이후 밝혀질 예정이다. [출처 : 주 러시아 대한민국 대사관] [뉴스출처 : 한국무역협회]
스페이스뉴스 관리자 기자 | 이종섭 국방부장관은 2023년 5월22일부터 25일까지 말레이시아 랑카위에서 개최되는 ‘말레이시아 국제 해양·항공 전시회’ ( LIMA : The Langkawi International Maritime and Aerospace Exhibition ) 에 참석할 예정이다. ‘말레이시아 국제 해양·항공 전시회’는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개최되는 대규모 방산전시회 중 하나로,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30여 개국 600여 업체와 UAE, 튀르키예, 인도네시아, 싱가포르 등 8개국 국방장관이 참석할 예정이다. 이종섭 장관은 이번 전시회 기간 동안 ▴ 한-말레이시아 국방장관회담을 갖고, ▴ 말레이시아 국무총리를 예방하여 양국 간 국방·방산 협력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또한, 이종섭 장관은 FA-50 최종계약식*에 참석하여 한-말레이시아 방산협력 강화에 대한 우리 정부의 확고한 지원과 협력 의지를 표명하고, 전시회에 참가한 한국 방산업체를 방문하여 간담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특히, 이번 말레이시아에 대한 FA-50 수출은 한·말레이시아 방산협력이 본격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것으로 기대한다. 한편, 우리 군은 이번
스페이스뉴스 관리자 기자 | 2022년 라오스는 전력 수출에 힘입어 13억9천만 달러의 무역 흑자를 기록했다. 2022년 라오스 수출은 81억9,800만 달러, 수입은 68억800만 달러이다. 수출의 경우 태국이 29억4천만 달러로 라오스의 최대 수출국이었으며, 중국과 베트남이 그 뒤를 이었다. 수입 또한 태국이 33억7,700만 달러로 라오스의 최대 수입국이었으며, 중국과 베트남이 그 뒤를 이었다. 주요 수출품은 전기, 금, 종이, 목재였으며, 수입품은 디젤, 휘발유, 철강 등이다. 전체 수출 상품 중 전력 수출이 23억5,800만 달러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전체 수입 상품 중 디젤 수입이 9억 3,500만 달러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한편, 2023년 4월 라오스는 1,700만 달러의 무역 적자를 기록했다. 수출 4억6,500만 달러, 수입 4억8,200만 달러 기록했다. 라오스의 최대 수출국은 중국이었으며, 최대 수입국은 태국이다. 주요 수출품은 금, 바나나, 의류, 철광석, 종이였으며, 주요 수입품은 디젤, 휘발유, 철강 제품이다. [출처:https://laotiantimes.com/2023/05/10/la
스페이스뉴스 관리자 기자 | 박진 외교부 장관은 히로시마에서 열린 G7 정상회의 계기 하야시 요시마사(林芳正) 일본 외무대신과 5.20(토) 14:20-15:10간 한일 외교장관회담을 가졌다. 이번 회담은 지난해 5월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여섯 번째이자, 대통령 취임 2년차를 맞아 처음으로 개최된 한일 외교장관회담이다. 양 장관은 약 12년 만의 양국 정상간 셔틀외교의 완전한 복원을 환영하고, 외교‧안보, 경제안보 등 정부간 제반 분야 협의체가 활성화되고 있는 점을 평가했으며, 한일간 주요 현안 및 상호관심사에 대해 폭넓게 논의했다. 또한, 양 장관은 북핵 위협 고도화, 우크라이나 사태, 글로벌 공급망 위기 등 엄중한 국제정세 하, 지역 및 글로벌 현안 관련 한일, 한미일간 협력과 공조를 강화해 나갈 필요성에 대해 의견을 같이했다. 양 장관은 앞으로도 양국관계 개선의 모멘텀을 외교‧안보, 경제, 문화, 인적교류 등 다양한 분야로 확대하기 위해 긴밀히 소통하고, 한일정상회담 후속조치를 속도감 있게 이행해나가기로 했다. [뉴스출처 : 외교부]
스페이스뉴스 관리자 기자 | 외교부는 한미동맹 70주년 및 한인 미주 이민 120주년을 맞아 5월 19일 미국 뉴저지주 프린스턴대 이승만홀에서 코리아소사이어티(Korea Society)와 공동으로 '한미동맹 70주년 기념 세미나'를 주최했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한미동맹의 과거, 현재, 미래를 다루고, 한미관계 강화를 위한 미국 내 한인사회의 역할과 기여에 대해 논의했다. 동 세미나에는 Philip D. Murphy 뉴저지주지사 및 Ellen J. Park 뉴저지주 하원의원, Susan Eliott 미국 외교정책협의회(NCAFP) 회장, 이소은 변호사 등 미국 내 주요 여론주도층 인사들과 한인들이 참석했다. 박진 장관은 영상 축사에서 한미동맹 70주년을 평가하고, 향후 한미동맹이 나아갈 방향에 대해 언급하면서 한미동맹 체결을 위해 노력한 이승만 초대 대통령에 대해서 평가했다. 박 장관은 이승만 초대 대통령이 박사학위를 받은 프린스턴 대학에서의 교육과 경험이 훗날 한미동맹 체결을 위한 밑거름이 됐을 것이라고 했다. 박 장관은 70주년을 맞은 한미동맹이 윤석열 대통령과 바이든 대통령의 리더십 하에 글로벌 포괄적 전략동맹으로까지 확대됐다고 평가하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