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상청, 눈의 형태에 따라 날씨가 달라질까요?

2023.12.20 10:38:55

 

스페이스뉴스 스페이스뉴스 기자 | 겨울철, 눈은 때로는 습설의 형태로, 때로는 건설의 형태로 내리기도 하는데요.

이 차이는 무엇일까요?

 

◆ 생성 과정에 따른 형태 변화

 

보통 눈송이 크기로 눈의 종류를 구분하는데요.

실제 대기의 온도에 따라 구름 속 얼음 알갱이, 물방울, 0도 이하에서도 얼지 않는 과냉각물방울이 존재해요.

그리고 주변 습도 등의 영향을 받으며 강수 유무와 눈의 형태가 달라지죠.

 

◆ 눈의 종류와 생성 과정

 

대기가 영하에서 기온이 낮아질수록 과냉각물방울은 적어지는데요. 구름의 형태에 따라 구름 속 서로 다른 입자가 결합해 눈의 종류를 구분해요.

 

- 얼음 알갱이 간 결합 + 풍부한 과냉각물방울 = 습한 함박눈

- 얼음 알갱이 간 결합 + 적은 과냉각물방울 = 건조한 가루눈

 

◆ 눈의 크기와 날씨 변화

 

수분이 많고 눈발이 커 잘 뭉쳐지는 습설과 건조하고 눈발이 잘아 잘 뭉쳐지지 않는 건설은 날씨 변화에도 차이가 있는데요. 속담으로 확인해 볼게요.

 

‘눈발이 잘면 춥고 눈발이 크면 따뜻해진다.’

 

건설은 상층의 찬 공기로 만들어져 지상으로 가라앉으면서 추워질 확률이 높고, 습설은 상대적으로 높은 영하 5도 정도의 습도가 많은 곳에서 만들어져 더 따뜻하게 느끼게 돼요.

 

◆ 눈이 내리면 덜 추울 수 있다?!

 

서해상에서 만들어진 눈구름대가 남서풍을 따라 수도권 쪽으로 이동하면 날이 따뜻해질 수 있는데요.

이외 다른 상황에 눈이 내릴 때는 날이 따뜻해지는 것은 아닙니다.

 

겨울철, 기상정보 확인하고 안전 챙겨주세요!


[뉴스출처 : 기상청]

스페이스뉴스 기자 edu3997@naver.com
Copyright @스페이스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주소 : 경기 수원시 영통구 동수원로 432 등록번호: 경기,아53618 | 등록일 : 2023-05-02 | 발행인 : 공부식 | 편집인 : 최한수| 전화번호 : 031-212-3997 Copyright @스페이스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